유물검색


home HOME > 유물검색

유물검색

성 김대건 안드레아신부 초상 (장발 作)

분류

분류
소장구분 전례박물관 정리번호 030105C023
분류
부문 유물 교구/소속 서울대교구
관리/소장처 가톨릭 문화시설 종별 의류

필수항목

필수항목
명칭(한글) 흑색 사제용 망토 명칭(영문) priest manteau
장르 의류 등록번호 698
국적 대한민국 시대 1930~1970년
용도 기능
수량1 1 01 재질1 사직 모직
수량2 재질2
수량3 재질3
필수항목
크기 높이
(세로)
(cm) 길이
(가로)
(cm) 너비
(폭)
110 (cm)
깊이 (cm) 지름 (cm) 기타 어깨너비:45 (cm)
문화재지정
문화재지정 구분 호수 일자
     
특징
특징 흑색의 모직 망토 /
턴오버칼라이며 칼라의 앞부분은 둥글게 처리 /
소매가 없는 대신 앞쪽에 손을 내밀 수 있는 구멍을 뚫고 시접을 처리 /
별도의 문양이나 장식이 없음

세부항목

세부항목
정의 소매가 없이 케이프처럼 어깨부터 팔을 덮어 걸치는 형태의 외투
유래 및
발달과정/역사
망토 : 영어의 맨틀(mantle)에 해당한다. 길이는 여러 가지이며, 좌우를 앞에서 겹쳐 잠그지 않는다. 중세 말기부터는 야회용이나 의식용으로 옷자락이 끌리는 긴 것도 나타났다. 망토는 오랜 옛날부터 입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앞을 핀으로 고정시킨 울(wool:양털 ?염소털 ?라마털 따위)로 만든 남자용 망토가 청동기시대 전기의 덴마크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도 망토의 일종으로 보이는 외의가 착용되었다. 중세에는 널리 보급되어 남녀가 다같이 코트(cotte:튜닉의 일종) 위에 착용하고, 앞부분은 단추나 브로치, 장식끈으로 고정시켰다. 르네상스기에는 모피로 가장자리에 테를 두른 것과, 진홍색 또는 검정색 호박단이나 벨벳 등으로 만든 호화로운 것이 나왔다. 17세기에는 모피로 만든 망토도 유행하였는데, 흰 담비의 모피로 만든 망토를 입은 루이 14세의 초상화를 보면 알 수 있다.
망토는 서민들도 입었는데, 여행자나 양치기는 두껍고 조잡한 울로 만든 두건이 달린 망토를 입었으며, 아일랜드의 가난한 여성들은 동물의 거친 털로 가장자리에 테를 둘러 모피처럼 보이게 하였다. 19세기에는 팔을 꺼낼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나타났으며, 1930년대 이후 현재와 같은 오버코트로 차차 변천하였는데, 지금은 여성의 패션용으로 남아 있다.
이 망토는 사제가 방한용으로 착용했던 것이다.
일반적 형태 턴오버 칼라이며 칼라의 앞부분은 둥글게 처리되었다. 소매가 없는 대신 앞 쪽에 손을 내밀 수 있는 구멍을 뚫고 시접을 처리하였다. 색상은 엄숙한 의미를 가지는 검은색으로 별도의 문양이나 장식이 없고 옷감은 모직이며 구김과 마모의 정도가 심하다.
교회사적의의
참고자료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한국교회사연구소, 1985.
『한국가톨릭용어큰사전』, 허종진, 한국그리스도교언어연구소, 1994.
『그리스도의 상징들』, 김종익, 가톨릭출판사, 2001.
비고
소장처 주소
및 정보
110-758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90-1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성신관
예약 관람 TEL (02)740-9707~8

유물사진

ctu000698.JPG ctu000698-000-001.JPG ctu000698-000-002.JPG ctu000698-000-0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