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검색


home HOME > 유물검색

유물검색

성 김대건 안드레아신부 초상 (장발 作)

분류

분류
소장구분 전례박물관 정리번호 030105A393
분류
부문 유물 교구/소속 서울대교구
관리/소장처 가톨릭 문화시설 종별 제구류

필수항목

필수항목
명칭(한글) 주수수건 명칭(영문) Lavabo(라)
장르 제구류 등록번호 603
국적 대한민국 시대 광복이후~1970년대
용도 기능
수량1 1 01 재질1 사직 면
수량2 재질2
수량3 재질3
필수항목
크기 높이
(세로)
20.9 (cm) 길이
(가로)
(cm) 너비
(폭)
34.4 (cm)
깊이 (cm) 지름 (cm) 기타 (cm)
문화재지정
문화재지정 구분 호수 일자
     
특징
특징 백색 면직으로 제작된 주수수건/
종부성사 때 사용됨/

세부항목

세부항목
정의 미사 때 성찬의 전례를 위해 사제가 손을 씻은 후 닦는 수건.
유래 및
발달과정/역사
종부성사란 세례를 받고 의사능력이 있는 신자가 병이나 노쇠로 죽을 위험이 엿보일 때 받는 성사이다. 9세기부터 죽을 위험에 놓여 있는 이에게 마지막으로 영적 도움 곧 은총을 주기 위한 성사적 성격이 뚜렷이 나타나 ‘마지막 도유(종부성사)’라는 말이 쓰였다. 13~14세기에 칠성사의 이론이 발전해, 종부성사의 주요 효과는 질병을 영적으로 이기는 성사은총을 주는 것이라 했고, 질병의 치유를 부수효과로 보았다. 또한 이 성사를 받을 이는 죽을 위험에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강조했다.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년)는 성사를 칠성사의 하나의 규정하고, 성사의 효과로서 영적인 도움과 이에 딸려 일어날 수 있는 육신의 질병 치유를 조화시켜 밝혔고, 성사받을 이는 죽음에 임박하지 않는 이도 될 수 있게 했다. 제 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에서 ‘종부성사’라는 말이 ‘병자성사’로 바뀌었다.
일반적 형태 가로 34.4cm, 세로 20.9cm
주수수건은 주수병을 닦기 위한 용도로 쓰이며 보통 면 소재로 그 실용성을 더 한다. <참고>미사 때 사용되는 물과 포도주를 담는 작은 병을 주수병이라한다. 보통 유리나 쇠로 만들어지며, 먼지가 들어가지 못하게 마개가 달려 있으며 받침 접시도 있다. 물이 들어 있는 병과 포도주가 들어 있는 병을 구별하기 위한 표시가 필요하다. 이 구별을 위해서 각각 `A'와 `V'의 글자로 표시한 적도 있다 (`A'는 물이란 뜻의 라틴어 aqua의 첫 글자, `V'는 포도주라는 뜻의 vinum의 첫 글자).
교회사적의의
참고자료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한국교회사연구소, 1985.
『한국가톨릭용어큰사전』, 허종진, 한국그리스도교언어연구소, 1994.
비고
소장처 주소
및 정보
110-758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90-1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성신관
예약 관람 TEL (02)740-9707~8

유물사진

ctu0006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