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성당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방인 사제인 김대건 신부의 유해 일부가 모셔져 있다. 김대건 신부의 유해는 오늘도 그를 본받아 이 땅의 참된 목자가 되려는 신학도들의 모든 삶에 함께하고 있는 것이다.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의 효시는 183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선교사들은 정하상을 비롯한 소년들에게 국내에서 신학 교육을 시키는 한편, 김대건, 최양업, 최방제 등을 마카오로 유학을 보냈는데 그중 김대건과 최양업만이 사제품을 받고 귀국해 활동하다가 순교했던 것이다.
그 후 1855년 배론에 성요셉 신학당이 세워져 신학 교육을 시작했으나 1866년 병인박해로 폐쇄되었고 1885년 강원도 여주군 강천면 범곡고골(부엉골)에서 현 가톨릭 신학대학의 직접적인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예수성심신학교가 문을 엶으로써 최초로 국내 신학교의 설립을 보게 된다. 그리고 2년 뒤인 1887년에 신학교는 서울 용산 함벽정(현 원효로 4가)으로 이전한다.
1942년 용산 예수성심신학교는 일제에 의해 강제로 문을 닫게 되었다가 1945년 경성 천주공교 신학교로 개칭, 다시 설립되고 그 후 성신대학이라는 명칭을 거쳐 지금에 이른다.
<<방문 가능 장소: 대성당(이외 출입금지)>>
종로구 혜화동에 위치한 가톨릭대학교 성당에는 최초의 한국인 신부님이신 김대건 안드레아 성인의 유해가 모셔져 있습니다.
1846년 9월 16일에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으로 순교한 김대건 신부님의 시신은 여러 신자들에 의해 와서(지금의 왜고개)에 안장되었다가 서 야고보, 박 바오로, 한경선, 이민식 등 몇몇 신자들이 다시 미리내로 이장하였습니다. 그 후 1886년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에 대한 시복 조사를 할 때 교구 재판 판사인 프와넬 신부가 미리내에 있던 봉분 중앙을 헤치고, 관을 묻은 뒤에 구덩이 위를 덮는 넓은 나무 판인 횡대를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1901년 5월 21일에는 프와넬 신부와 드망즈 신부, 안성 본당 공베르 신부, 미리내 본당 강도영 신부가 참여한 가운데 유해를 발굴하였습니다. 그런 다음 횡대는 봉분 안에 다시 넣고 원상태로 봉분을 쌓았으며 발굴된 유해는 강도영 신부의 사제관에 안치하였다가 5월 23일에 용산 예수성심신학교로 옮겨 안치하였습니다. 이후 김대건 신부님의 유해는 6·25전쟁 당시 이재현 신부에 의해 비밀리에 성당 옆 성모상 아래 숨겨지기도 했고, 전쟁이 더욱 심각해지던 1950년 9월 28일에는 경남 밀양으로 피난 가 있던 소신학교로 옮겨 모셔졌다가, 전쟁이 끝난 후 혜화동 소신학교 성당으로 옮겨 안치되었습니다.
그리고 1960년 7월 5일 신축 중이던 성신교정 성당이 완공되자, 유해 가운데서 하악골을 미리내 경당으로, 치아는 절두산 순교자 기념관으로 분리, 안치시키고 나머지 유해는 성당으로 옮겨와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1994년 2월 성당 수리공사를 할 때 새로 석관묘를 제작하여 옮겼으며, 1901년부터 1994년 2월 24일까지 사용했던 기존의 목관과 대리석판은 학교 내 전례박물관으로 옮겨 소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