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및 발달과정/역사 |
구약성서에는 사제와 왕을 축성하기 위해 기름을 사용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통은 초대교회 때에 그대로 이어졌다. 또 히폴리토(170~236)의 『사도전승』(Traditio Apostolica)에서는 특별한 축성을 위한 ‘신비의 성유’와 후에 예비자 성유가 된 ‘구마성유’를 구분하였다. 초기 교부들 즉 테르툴리아노(160~223)와 암브로시오(340~397), 키프로스의 주교 테오도레토(393~458), 예루살렘의 치릴로(315~386) 등은 그리스도교 입문성사 예식 중에 사용된 ‘신비의’ 성유에 대하여 언급하였는데 신비의 성유란 그리스도의 은총의 선물임을 강조한 표현이다. 그 후 370년경에 개최된 라오디게이아교회 회의 때부터 ‘크리스마 성유’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성유를 지칭하는 용어로 ‘성유’라는 말리 오랫동안 사용되었는데 그리스어 ‘크리스마’는 도유하다라는 의미의 ‘크리오’ 동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로마규범서』 10장에서는 축성을 위해 사용되는 향료가 섞인 성유를 특별히 크리스마 성유라고 지칭하였다. 이 성유는 동방 전례와 라틴 전례에서도 사용되었으며 4세기 이후부터는 크리스마 성유 외에 여러 가지 성유로 구분되기 시작하였다. 서방 교회에서 현재와 같이 성유가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8세기부터였다. 왕의 대관식 때에 사용되기도 하였던 성유는 중세 후기에 서방 교회의 영향을 받아서 비잔틴 제국의 황제 대관식 대에 사용되었으며, 이후 러시아 황제의 대관식 때에도 사용되었다. 현재는 동서방 교회 모두 성당과 제대 축성 시에 성유를 사용하고 있다.
|
일반적 형태 |
지름 3cm, 높이 5cm
본 소장품은 김수환 추기경이 사용했던 성유통이다. 은으로 제작후 금도금하였다. 측면 상하에 사선문을 음각했으며, 측면 중앙에는 십자가 문양을 배치하고 그 아래로 Eucharistic Congroess, BAVDKOK, OCT 27.1982 의 문자를 음각하였다. 윗면에 S.C 문자가 양각되어 있다.
|
참고자료 |
『한국가톨릭대사전(신)』,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한국교회사연구소, 1999.
『한국가톨릭용어큰사전』, 허종진, 한국그리스도교언어연구소, 1994.
『그리스도교의 상징들』, 김종익, 가톨릭출판사, 2001. |
비고 |
<참고>
김수환(金壽煥) 추기경(1922~)
서울대교구장. 세례명은 스데파노. 본관은 광산(光山). 김동한(金東漢, 가오르) 신부의 아우. 경북 대구 남산동에서 김영석(金永錫, 요셉)과 서중하(徐仲夏, 마르티나)의 6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이 천주교와 관련을 맺게 된 것은 조부 때부터인데, 조부인 김보현(金甫鉉, 요한)은 1868년 무진박해(戊辰迫害) 때 충남 논산군 연산(連山)에서 체포되어 서울에서 순교하였다. 이때 조모인 강말손(姜末孫)도 남편과 함께 체포되었으나 임신한 몸이었으므로 석방되어 영석을 낳게 되었으며, 영석은 성장한 뒤 영남 지방으로 이주하여 옹기장사를 하다가 혼인한 뒤 대구에서 정착하였다. 김수환은 이후 부친을 따라 군위(軍威)로 이주, 그곳에서 초등학교를 다니다가 1933년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예비과를 거쳐 동성상업학교 을조(소신학교)에 입학했다. 1941년 동성상업학교를 졸업한 그는 일본으로 건너가 조오찌 대학(上智大學) 문학부 철학과에 입학했으나, 1944년 학병으로 강제 징집되어 동경 남쪽 후시마(父島)에서 훈련을 받던 중 종전(終戰)을 맞고 조오찌대학에 복학했다. 그리고 1947년, 해방을 맞이한 조국으로 돌아와 성신대학(가톨릭 대학의 전신)에 편입, 4년 후인 1951년 9월 15일 대구에서 서품되었다.
이후 1970년 한국 천주교 주교 회의 의장과 여러 분과 위원장, 주교 회의 의장과 여러 분과 위원장, 주교 회의 산하 여러 전국 단체들의 총재를 역임했으며, 국내외의 여러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울러 그 동안 한국 천주교의 순교자 시성 운동, 해외 선교 사업, 조선교구 설정 150주년 행사,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 행사, 서울 제44차 세계 성체 대회 등을 통해 한국 교회를 국내외에 드러내는 데 많은 역할을 하여 교세를 확대시켰다.
한편 1968년 서울대교구장에 취임하면서 “교회는 높은 담을 헐고 사회 속에 교회를 심어야 한다.”는 인사말을 통해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에 따른 교회 쇄신과 현실 참여의 원칙을 밝혔다. 동시에 가난하면서도 봉사하는 교회, 한국의 역사 현실에 동참하는 교회상을 제시하여 교회 안팎의 젊은 지식인, 노동자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얻었고, 이후 정치 현실과 노동문제에 대한 강경 발언을 서슴지 않음으로써 대내외적으로 인권 옹호자라는 명성을 얻기도 했다. 김 추기경의 사회 교리에 대한 의식으로 한국 천주교회는 제3공화국 이래 현재까지 정치권력에 의해 많은 고난과 희생을 받아 왔지만, 그 희생과 고난의 대가로 교회의 지위가 대내외적으로 크게 격상되었고, 2000년대 복음화를 위한 발판도 다지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