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봉성체 의식에 사용될 성체, 작은 성합, 전례서, 수건, 성유, 영대 등을 넣어 운반하는 가방. |
유래 및 발달과정/역사 |
봉성체 가방의 유래와 발달과정은 봉성체 의식의 유래와 발달과정과 괘를 같이 한다. 봉성체 의식의 유래 및 발달과정을 살펴 보면 아래와 같다.
봉성체는 주님의 이름으로 병자들을 격려하고 그들의 어려움을 형제애로 돌보아 줌으로써 그리스도와 교회의 걱정과 사랑을 함께 나누기 위한 것이다.
성 유스티누스의 《제1호교론》(Apologia Ⅰ) 6장에서 부제들이 미사에 참여하지 못한 형제들에게 성찬 음식인 성체와 성혈을 가져다 주었다고 언급되어 있는데, 이것으로 보아 이미 2세기에 미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병자들에게 성체를 영해 주었음을 알 수 있다. 8세기 전까지 미사에 참여하지 못한 병자들에게 성체를 모셔 가 영해 주는 것은 사제나 부제가 행하였지만, 특히 부제의 주요한 임무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 시대에도 평신도들이 영성체하고 병자들에게 영성체를 시켜주는 권한을 부여받았음을 교부들의 여러 문헌이 증언하고 있다. 8세기 이후에는 칼 대제(Karl der Grosse)의 개혁을 시작으로 평신도가 성체를 영해 주는 것이 금지되었으므로, 많은 문헌에서는 사제들이 병자들에게 성체를 영해 주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 병자들에게 성체를 영해 주는 정규 집전자는 사제였고, 부제는 예외적인 집전자였다. 14∼15세기에 이르러서는 평신도들이 성체를 만지는 행위를 더 이상 허락하지 않았다.
칼 대제의 개혁 이후 병자들의 영성체 예식은 여러가지 형태로 이루어졌는데, 중세 초에는 세가지 주요한 예식이 있었다. 첫번째 형태는 병자에게 성체를 영해 주기 위해 그를 성당으로 데려가는 것이었고, 두번째 형태는 사제가 죽음에 임박한 사람의 집에서 미사를 봉헌하는 것이었는데 이 미사를 위해서는 특별한 양식의 기도들이 만들어졌다. 세번째 형태는 성체가 보존되어 있는 감실에서 성체를 병자의 집으로 모셔 가는 것이었다. 그리고 12세기까지 경우에 따라서는 한가지 양식으로만 영성체를 영해 주었는데, 일반적으로는 병자들에게 성체와 성혈 두가지 양식으로 영성체를 해주었다.그러나 이러한 두가지 양식의 영성체는 성혈 보존에 따르는 여러가지 어려움 때문에 12세기말부터는 그리스도의 몸인 성체만을 병자들에게 영성체해 주는 것으로 대체되면서 급격히 일반화되었다.
|
일반적 형태 |
본 소장품은 커피색 벨벳천으로 제작되었다. 끝이 둥글게 처리된 장방형의 몸체에 목에 걸수 있는 긴 끈이 부착되어 있으며, 몸체에 ㄷ자형으로 지퍼가 부착되어 있다. 안쪽엔 JHS와 십자가 문양이 수놓인 흰색 주머니가 두개 부착되어 있다. |
교회사적의의 |
|
참고자료 |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한국교회사연구소, 1999.
『한국가톨릭용어큰사전』, 허종진, 한국그리스도교언어연구소, 1994.
『그리스도교의 상징들』, 김종익, 카톨릭출판사, 2001. |
비고 |
|
소장처 주소 및 정보 |
110-758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90-1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성신관
예약 관람 TEL (02)740-970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