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미사 중에 성작, 성반, 성합을 올려놓는 사방 50cm 이내의 흰색 아마포로 만들어진 전례 용구. |
유래 및 발달과정/역사 |
성체포는 성작 덮개와 함께 초기의 긴 제대포에서 유래되었다. 제대포와 성체포가 구분 없이 사용된 4세기에는 제대 전체를 덮을 만큼 큰 것이었다.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는 몇 개의 제대포가 사용되었는데, 세 개의 아마포 제대포와 성작까지 덮는 용도의 한개의 성체포(palla corporale)가 있었다. 이 성체포는 제대위에 놓인 성작과 성체를 덮던 것이었다. 1000년경 이후부터 성체포는 제대포와 구분하여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크기도 점차 줄어 중세 말부터는 오늘날의 성체포와 비슷한 크기가 되었다. 또 성작을 덮는 용도로 사용되었던 성체포는 두 번 접어 성작 덮개로 사용되다가 지금의 성작 덮개가 따로 구분되자, 17세기부터는 현재 용도의 성체포로 정착되었다. 그 후에도 많은 나라에서는 두개의 성체포를 사용했으며, 가르투지오회에서는 아직도 성작을 덮는 용도로 큰 성체포를 사용하는 관습이 남아있다.
중세 때에는 성체포를 불속에 던지면 불을 끌 수 있다는 대중 신심이 있었다. 그러나 1022년 젤리겐슈타트(Seligenstadt) 교회 회의에서는 사제들이 성체포로 불을 끄는 이러한 신심행위를 날카롭게 비판하고 금지시켰다. 또한 병 특히 눈병을 낫게 한다는 신심이 신자들 사이에 만연하기도 하였는데, 사제가 입당할 때나 퇴장할 때 성체포를 들고 신자들을 향해 부채질을 하기도 하고 부유한 사람들은 미사 후에 헌금을 내고 성체포를 얼굴에 대기도 하였다.
동방 교회에서는 제대 위를 덮던 ‘에일레톤’(ειλητον)이라는 큰 천이 서방 교회의 성체포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예수가 매장될 때 머리 주변에 펼쳤던 천을 상징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동방 교회에서는 이 ‘에일레톤’과 ‘안티멘시움’(antimensium)이라는 성체포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안티멘시움’은 아마포로 제작되고 예수의 수난과 매장을 그린 장식이나 순교자의 유해를 담고 있으며, 9세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
일반적 형태 |
성체포는 성찬 전례 중에 떨어질지도 모를 성체조각들을 쉽게 모으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세 번 접을 경우 천의 중앙이나 아랫부분의 중앙에 수놓은 십자가가 나오도록 되어 있다. 성체포는 질이 좋은 천을 이용하여 아름답고 정성스럽게 만들어진 것이어야 하며, 빳빳함을 계속 유지하도록 풀을 먹인다.
본 수장품은 흰색의 면직물로 제작되었으며, 사각형의 형태를 갖고 있다. 중앙에 후광이 있는 성작위의 성체 문양을 흰실로 수놓았다. 그리고 중앙의 문양 둘레에 매, 망치, 창, 주사위 등의 문양을 흰실로 수놓았다. 매, 망치, 창, 주사위 등의 문양은 ‘그리스도의 수난’을 상징한다. 가장자리에 레이스가 부착되어 있다.
|
교회사적의의 |
|
참고자료 |
『한국가톨릭대사전(신)』,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한국교회사연구소, 1999.
『한국가톨릭용어큰사전』, 허종진, 한국그리스도교언어연구소, 1994.
『그리스도교의 상징들』, 김종익, 가톨릭출판사, 2001. |
비고 |
|
소장처 주소 및 정보 |
110-758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90-1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성신관
예약 관람 TEL (02)740-970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