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텐츠로 바로가기
  • 대메뉴로 바로가기

가톨릭대학교 전례박물관

  • 사이트맵
  • 성신교정
  • 성심교정
  • 성의교정
  • 박물관안내
    • 소개
    • 관람안내
    • 시설규모
    • 유물현황
    • 찾아오시는길
  • 전시관안내
    • 역사관
    • 전례관
    • 교리자료관
    • 성미술관
    • 민속관
  • 유물검색
  • 한국천주교회사
    • 창설과 조선교구
    • 박해
    • 격동기의 천주교
    • 광복 이후의 천주교
  • 전례이야기
    • 전례
    • 제의
    • 제구
    • 전례서
  • 성지순례
    • 성지순례

전시관안내

  • 역사관
    • 천주교회사
    • 사제양성 변천사
    • 성직자 자료
    • 대표유물보기
  • 전례관
  • 교리자료관
  • 성미술관
  • 민속관

home HOME > 전시관안내 > 역사관 > 천주교회사

천주교회사

성 김대건 안드레아신부 초상 (장발 作)

교황께올리는 서한 사진

이곳은 김대건 신부 유해 보존도를 전시하고 있다. 신학교는 김대건 신부님 유해를 보관하고 있는 유서 깊은 곳으로,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성 김대건 신부의 시신은 1846년 10월 26일 이민식(빈첸시오)에 의해 미리내에 안장된 후 1901년 5월 21일 처음으로 발굴되어 용산 예수성심신학교로 이장되었다가 10월 17일 다시 신학교 성당으로 옮겨져 안치되었다.

신학교 성당의 유해는 6.25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1950년 9월 28일 경남 밀양 성당으로 옮겨져 안치되었고, 1951년에 다시 혜화동 소신학교로, 1960년 7월 5일 혜화동 대신학교로 옮겨지게 되었다.

이때 유해 중에서 하악골은 미리내 경당으로, 치아는 절두산 순교 기념관으로 분리 안치되었다. 따라서 김대건 신부의 유해는 미리내와 절두산에서 보관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혜화동 대신학교 성당 제대 옆에 모셔지게 된 것이다.

그리고 샤르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에서 관리해 오고 있던 남은 유해들도 1996년 5월15일에 서울대교구 사무처에서 인수하여 모두 대신학교로 보내졌다. 
1901~1994.2.24까지 성 김대건 신부님의 유해를 담았던 관을 전시하고 있고, 1994.2. 성 김대건 신부님의 유해를 납관에 넣기 전 모습을 촬영한 것을 전시하고 있다.

또한 성 김대건(안드레아) 신부의 두개골의 모습을 원형 그대로 옮겨 놓은 모습과 그 위에 피부를 씌운 모습 등, 유해에 근거하여 2001.6.22일 명동성당에서 제작한 ‘얼굴 복원 보고서’에 의한 모습을 전시하고 있어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1839/1846/1866년 순교 성직자 제위 사진과 명단, 1925년 7월 5일 교황 비오 11세의 한국 순교자 79위 시복식교서, 전국 천주교 성지 지도, 103위 성인 그림과 명단(성본명, 신분, 속명, 연세, 치명년월일)을 전시함은 물론, 103위 순교성인에 관련된 자료, 사진과 1985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방한 
시성식 자료도 볼 수 있다.

특히 한국교회 전래 초기의 주요서적인 천주실의, 칠극, 주교요지 등의 서적과 치명일기, 기해일기, 벽위편 등의 박해와 관련된 고서를 전시하여 한국교회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사이트정보

가톨릭대학교 전례박물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110-758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296-12 (혜화동) / TEL.02-740-9714

Copyright 2012 The catholic Universt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 콘텐츠로 바로가기
  • 대메뉴로 바로가기
  • 부메뉴로 바로가기